시베리안 허스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시베리안 허스키는 시베리아와 북극권 툰드라 지대를 원산지로 하는 대형견종으로, 썰매 견인, 사냥 보조 등의 작업견으로 사용되었다. 1925년 디프테리아가 유행한 알래스카 놈 시에서 혈청 수송에 기여하여 널리 알려졌으며, 균형 잡힌 체구와 온화한 성격으로 애완견으로 인기를 얻었다. 추운 환경에 강하고 지구력이 뛰어나며, 썰매 개 경주, 스키조링 등 다양한 활동에 참여한다. 짖는 대신 울부짖는 경향이 있으며, 사회성이 강하지만, 훈련과 관리가 필요하다. 대중문화에서도 자주 등장하며, 여러 학교의 마스코트로도 활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썰매개 - 알래스칸 맬러뮤트
알래스칸 맬러뮤트는 알래스카 말라뮤트족의 썰매견으로, 강한 체력과 지구력을 바탕으로 썰매 끌기, 사냥, 어업 등 다양한 작업에 활용되었으며, 2010년 알래스카의 주 개로 지정되었다. - 썰매개 - 사모예드견
사모예드견은 시베리아 북부에서 유래하여 사모예드족이 순록을 몰고 썰매를 끄는 데 사용한 견종으로, 풍성한 털과 튼튼한 체격, 온화한 성격, 그리고 '사모예드 스마일'이라 불리는 웃는 듯한 인상이 특징이다. - 러시아산 개 품종 - 라이카 (개 품종)
라이카는 러시아 북부 지역의 사냥개를 총칭하는 말로, 국제 애견 연맹에서는 여러 북유럽 사냥개를 라이카로 분류하며, 현재 사냥, 목양, 썰매 등에 사용되는 다양한 품종이 존재하고 국제 축견 연맹은 특정 품종들을 공식적인 라이카 품종으로 인정한다. - 러시아산 개 품종 - 알래스칸 맬러뮤트
알래스칸 맬러뮤트는 알래스카 말라뮤트족의 썰매견으로, 강한 체력과 지구력을 바탕으로 썰매 끌기, 사냥, 어업 등 다양한 작업에 활용되었으며, 2010년 알래스카의 주 개로 지정되었다. - 강아지 - 요크셔 테리어
요크셔 테리어는 19세기 영국 요크셔에서 탄생한 소형견으로, 쥐잡이 개에서 빅토리아 시대 인기를 얻어 켄넬클럽에 인정받았으며, 긴 털과 애정 어린 성격을 지녔지만 건강 문제에 취약하고 평균 수명은 12~14년이다. - 강아지 - 닥스훈트
독일어에서 유래된 닥스훈트는 짧은 다리와 긴 몸통을 가진 사냥개로, 크기와 털 종류에 따라 총 9가지 품종으로 나뉘며, 뛰어난 후각과 고집 센 성격을 지니고 척추 질환에 취약하지만 유럽 왕실과 미국에서 인기가 높다.
시베리안 허스키 | |
---|---|
기본 정보 | |
![]() | |
별명 | 허스키 시베 |
원산지 | 시베리아 |
외형 | |
무게 (수컷) | 20–27 kg |
무게 (암컷) | 16–23 kg |
키 (수컷) | 53–60 cm |
키 (암컷) | 51–56 cm |
털 | 두꺼운 이중 털 |
털 색깔 | 검은색에서 순수한 흰색까지 모든 색상, 다양한 색상과 마킹 포함 |
기타 정보 | |
새끼 수 | 4–8 마리 |
수명 | 12–14 년 |
공인 | |
ANKC 그룹 | 그룹 6 (유틸리티) |
ANKC 표준 | ANKC 표준 |
CKC 그룹 | 그룹 3 (워킹) |
CKC 표준 | CKC 표준 |
FCI 그룹 | 5 스피츠 및 원시 개 |
FCI 번호 | 270 |
FCI 섹션 | 1 북유럽 썰매개 |
FCI 표준 | FCI 표준 |
JKC 그룹 | 제5그룹 |
JKC 표준 | JKC 표준 |
KCUK 표준 | KCUK 표준 |
NZKC 그룹 | 유틸리티 |
NZKC 표준 | NZKC 표준 |
UKC 그룹 | 북부 품종 |
UKC 표준 | UKC 표준 |
2. 역사
시베리아와 캐나다 북극권에 걸친 툰드라 지대를 원산지로 하는 사회성이 풍부한 대형견종이다. 진화 계통상 조상은 스피츠와 동계로 여겨진다. 극동 북극권을 중심으로 순록 유목과 사냥을 생활로 하는 추크치족(에스키모)에 의해, 썰매 견인, 짐 운반, 사냥 보조 등을 하는 작업견으로 중요하게 여겨져 왔다.
시베리아와 알래스카 반도를 방문한 탐험가나 모피 무역 상인들이 추크치족을 포함한 에스키모를 "허스키"라고 칭했던 것에서, 그 작업견으로 사용되었던 본 견종도 허스키라고 불리게 되었다.
아문센 탐험대 등의 극지 탐험견, 북극권 개 경주와 썰매 경주에서 우수한 성적을 거둔 견종으로도 알려져 있다.
1925년, 알래스카 놈 시에서 디프테리아가 대유행했을 때, 허스키 개 팀이 영하 50도의 혹한 속에서 544km를 릴레이하며 혈청을 수송하여 많은 사람들의 목숨을 구했다. 그 공훈견 발트 동상이 뉴욕 센트럴 파크에 건립되었다.
1930년대 이후 소비에트 연방 정부의 시베리아 국경 무역 봉쇄에 따른 본 견종의 수출 규제에도 불구하고, 북미를 경유하여 개량이 더해져 전 세계로 퍼졌다. 현재는 애완견이나 반려동물로서 극지 계통 견종 중에서 특히 뛰어난 인기를 가지고 있다.
일본에서는 사사키 린코의 만화 『동물의 의사씨』(잡지 「꽃과 별」연재)로 인지도가 급상승, 버블 경제 시대상을 타고 사육자가 급증하여 "허스키 개 붐"이라는 사회 현상을 일으켰다. 그러나 수년 후 키울 수 없게 되어 동물 보호 센터에 가져가거나 버리는 주인이 많이 나왔다.[75]
2. 1. 기원
시베리안 허스키의 조상은 시베리아 북동부 추코트카 반도에서 추크치족이 기르던 추코트카 썰매개로 알려져 있다.[42][41] 2015년 DNA 연구에 따르면 시베리안 허스키는 알래스칸 말라뮤트, 알래스칸 허스키와 유전적으로 가깝고, 시베리아의 추코트카 썰매개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11]시베리안 허스키는 현재 멸종된 타이미르 늑대와 혼혈되어 고위도 환경에 적응하는 데 유리한 유전자를 얻었다.[8] 이러한 유전자 유입은 초기 개들에게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는 데 유익한 표현형 변이를 제공했을 수 있다.[8]
시베리안 허스키는 원래 동부 시베리아의 추코트카 반도에 사는 추크치족에 의해 개발되었다.[9] 1908년 알래스카 노옴에 작업용 썰매개로 도입되었고, 이후 썰매개 경주에 사용되도록 개발되었다.[10][11]
2. 2. 알래스카 도입과 썰매 경주
1890년대부터 1930년대까지 시베리아 썰매개들이 알래스카로 수입되었다. 초기에는 클론다이크 골드러시 동안 금광 노동자들을 수송하기 위해 사용되었고, 이후에는 올-알래스카 스윕스테이크스 경주에 사용되었다.[42][5][13] 당시 "허스키"는 북극 원주민을 가리키는 용어였고, 추코트카가 시베리아의 일부였기 때문에 미국과 캐나다 정착민들은 추코트카에서 수입된 개들을 "시베리안 허스키"라고 불렀다.[42]
당시 일반적으로 사용되던 45~54kg의 화물견보다 작고, 빠르며, 지구력이 뛰어났던 시베리안 허스키는 스윕스테이크스 경주를 압도했다. 레오나르드 세팔라는 시베리안 허스키를 이용해 1909년부터 1920년대 중반까지 스윕스테이크스 경주에서 여러 차례 우승했다.[45]
2. 3. 1925년 노엄 혈청 운반
1925년 2월 3일, 구나르 카센은 네나나에서 놈까지 600마일 이상을 달려 디프테리아 항혈청을 전달하는 1925년 노옴 항혈청 수송의 마지막 주자였다.[45] 이 운송은 여러 썰매견 팀과 주자들의 공동 노력으로 이루어졌으며, 그중 가장 길고(264마일 또는 422km) 위험한 구간은 레오나르드 세팔라와 그의 썰매견 팀의 리더 토고가 담당했다.[45]
이 사건은 2019년 영화 "토고"에 묘사되었다.[45] 1995년 애니메이션 영화 "발토"에도 이 사건이 부분적으로 묘사되어 있는데, 구나르 카센의 썰매견 팀의 리더 이름은 발토였지만, 실제 개와 달리 영화 속 발토는 늑대개로 묘사되었다.[45] 이 리더 개를 기념하여 뉴욕 센트럴 파크에 청동상이 세워졌다. 동상에 새겨진 명판에는 다음과 같이 적혀 있다.[45]
> 험난한 얼음 위와 위험한 물을 건너, 북극 눈보라 속을 헤쳐 네나나에서 고통받는 노옴을 구하기 위해 600마일을 달린 썰매견들의 불굴의 정신에 바칩니다. 인내 · 충성 · 지능
시베리안 허스키는 발토와 토고가 등장하는 "자비의 위대한 경주"인 1925년 노옴 항혈청 수송 이야기로 인해 대중적인 인기를 얻었다.[46] 발토는 마지막 53마일 구간을 달려 항혈청을 노옴에 전달한 개로 더 유명하지만, 토고는 261마일의 가장 긴 구간을 달리며, 치명적인 노턴 사운드를 고로빈까지 건너는 여정을 이끌었다.[46][47]
2. 4. 품종 인정과 발전
1930년 미국 켄넬 클럽(AKC)이 시베리안 허스키를 공식 품종으로 인정했고, 1939년 캐나다에서도 품종으로 등록되었다. 리처드 E. 버드는 남극 탐험에 시베리안 허스키를 활용했고,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미군 북극 수색 구조대에서 활약했다. 1960년 미국 육군은 빙하 아래 시설 건설 프로젝트인 프로젝트 아이스웜에 시베리안 허스키를 마스코트로 활용했다.[56]2. 5. 한국에서의 시베리안 허스키
개그콘서트의 '정여사' 코너에 등장한 브라우니 인형과 개밥 주는 남자의 뚜이를 통해 시베리안 허스키가 대중에게 알려졌다. 1990년대 사사키 린코의 만화 『동물의 의사 선생님』이 인기를 끌면서 시베리안 허스키 사육 붐이 일었지만, 유기견 문제 또한 발생했다.[75]3. 특징
시베리아와 캐나다 북극권에 걸친 툰드라 지대를 원산지로 하는, 사회성이 풍부한 대형견종이다. 진화 계통상 조상은 스피츠와 동계로 여겨진다.
극동 북극권을 중심으로 순록 유목과 사냥을 생활로 하는 추크치족(속칭 "에스키모"로 총칭되는 민족 중 하나)에 의해, 썰매 등의 견인에 의한 사람과 짐의 운반, 사냥 보조 등을 하는 작업견으로 오래 전부터 중요하게 여겨져 왔다.[75]
시베리아 지대와 알래스카 반도를 방문한 탐험가나 모피 무역을 하는 북미 상인들이 추크치족을 포함한 에스키모를 "허스키"라고 칭했던 것에서, 그 작업견으로 사용되었던 본 견종도 허스키라고 불리게 되었다.
아문센 탐험대 등의 극지 탐험견에도 활용되었을 뿐만 아니라, 북극권 지역에서 성행했던 개 경주와 썰매 경주에서 우수한 성적을 거두는 견종으로도 알려져 있다.
1925년, 알래스카의 놈 시에서 디프테리아가 대유행했을 때, 허스키 개 팀이 영하 50도에도 이르는 혹한 속에서 544km의 거리를 릴레이하며 혈청을 수송하여 많은 사람들의 목숨을 구했고, 그 공훈견 발트 동상이 뉴욕 시의 센트럴 파크에 건립되는 등 크게 인지되게 되었다.
균형 잡힌 체구, 매끄럽게 뻗은 모피의 이미지를 가진 아름다운 겉털과 부드러운 속털, 늑대를 연상시키는 날카로운 얼굴, 사람에 대한 온화함 등으로 인기를 얻어, 1930년대 이후 소비에트 연방 정부의 시베리아 국경 무역 봉쇄에 따른 본 견종의 수출 규제에도 불구하고, 단순한 극한 지방의 작업견에 그치지 않고 북미를 경유하여 개량이 더해져 전 세계로 퍼져, 현재는 애완견이나 반려동물로서 극지 계통 견종 중에서 특히 뛰어난 인기를 가지고 있다.
평균 수명은 약 13~14년이며, 약 5세 전후까지가 사람으로 치면 성장기・청년기에 해당한다고 알려져 있다. 성견이 되면 체고는 약 40cm~60cm, 체중은 약 15kg~30kg 정도이다. 겉털은 검푸른색 또는 갈색이며, 얼굴과 배는 흰색 털로 덧대어져 있는 경우가 많지만, 온몸이 단색인 개체도 존재한다. 눈은 파란색, 회색, 갈색이 대부분이지만, 종종 유전적 특성으로 인해 좌우의 홍채 색깔이 다른 개체(이색증)가 존재한다.
일반적으로 개 쇼 출품 기준으로는, 좌우 홍채의 색깔 차이는 모든 개체가 허용되며, 털 색깔은 얼굴과 배에 흰색 털이 섞여 있는 개체라면 허용된다.
날카로운 얼굴과 강인한 체구에서 오는 인상과는 달리, 기본적으로 사람에게 우호적이며 적절하게 훈련된 개체는 작업견으로서도 애완견으로서도 매우 적합하다. 적당한 경계심은 있지만, 남에게도 우호성을 보이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번견에는 적합하지 않다. 일반적으로 짖는 일이 없는 견종이지만, 사회성이 있는 특성 때문에 고립된 상태에 장시간 방치되면, 늑대 등과 마찬가지로 무리에게 알리려고 울부짖는 경향이 있다.
사모예드견과 알래스칸 말라뮤트 등과 마찬가지로, 최난월 평균기온 10℃ 미만의 혹한에서 썰매 끄는 일 등에 중요하게 이용되어 온 것에서 알 수 있듯이, 뛰어난 내한성과 장거리 질주가 가능한 강인한 체력과 지구력을 가지고 있다. 호기심이 매우 강하고, 특히 성장기~청년기는 장난기 많고 힘이 센 견종이기 때문에 힘이 과해 가구 등을 부수는 일도 흔히 있다.
사회성이 강하고 소속 집단에 대한 귀속 의식이 높아, 일단 자신의 소속 집단이라고 자각하면 주인에 대한 충성심, 그 집의 아동・유아에 대한 친화성은 물론, 다른 소동물, 심지어 파충류 애완동물에 이르기까지 같은 소속원으로 여겨 온화함을 발휘한다. 따라서 적절하게 훈련하면 유아가 있거나 다른 소동물을 기르는 가정에서도 함께 살 수 있다. 하지만, 집단 지도자(주인)에게 "신경 써주었으면 좋겠다・칭찬받고 싶다"는 칭찬받고 싶은 욕구가 강하고, 고집 세고 독립심도 강하며 자아 표현 욕구가 강한 면도 있어, 훈련・육성을 인내심 있게 해야 한다. 최소한 아침저녁 각 1시간 이상의 운동을 빠뜨릴 수 없고 보호자가 동반해야 하기 때문에, 사육은 쉽다고 할 수 없지만, 적절한 훈련과 의사소통이 이루어지면 가족의 일원이 된다. 사람이나 다른 개에게 항상 심하게 으르렁거리고 과도한 위협을 가하는 성견 개체가 있는데, 이는 성장기 주인의 확실한 애정 교육 부족이나 충분한 운동 기회 부족 등에서 오는 스트레스 축적과 불만의 울적을 원인으로 하는 자아 표현의 넘침이며, 주로 주인의 훈련・육성 실패에서 기인한다.
일본에서는 사사키 린코 작의 만화 『동물의 의사씨』(잡지 「꽃과 별」연재)의 대히트로 인지도가 급상승하여, 버블 경제의 시대상을 타고 사육자가 급증하여 "허스키 개 붐"으로 사회 현상을 일으켰다. 그러나 수년 후에 키울 수 없게 되어 동물 보호 센터에 가져가거나 버리는 주인이 많이 나왔다.[75] 후년의 TV 드라마화 시에는 허스키 개가 쉽게 사육할 수 있는 개가 아님을 알리는 자막이 매주 흘러나왔다.
3. 1. 외형
시베리안 허스키는 대부분의 다른 견종보다 두꺼운 이중 모피를 가지고 있다.[12] 속털은 조밀하고 미세하게 물결치며, 겉털은 더 길고 두껍고 곧은 보호털로 되어있다.[13] 이는 섭씨 -50도에서 -60도의 혹독한 추위로부터 보호하고 여름에는 열을 반사한다. 속털은 털갈이 기간에는 종종 없어진다.[12]

시베리안 허스키는 다양한 색상과 무늬를 가지고 있으며, 흰색 발과 다리, 얼굴 무늬, 꼬리 끝을 가진 경우가 많다. 흑백, 구리빛 빨강과 흰색, 회색과 흰색, 순백색, 드문 "어구티" 털 등이 있으며, 금발빛 또는 얼룩 무늬를 가진 개체도 있다. 검은색부터 순백색까지 모든 털 색깔이 허용된다.[13][15][16][17]
눈은 아몬드 모양으로, 적당히 떨어져 있고 약간 비스듬히 위치해 있다. 눈 색깔은 갈색, 파란색, 검은색이 모두 가능하며, 한쪽 눈이 갈색이고 다른 쪽 눈이 파란색인 경우(오드아이)나 여러 색깔이 섞인 경우도 허용된다.[20]
꼬리는 털이 매우 많으며, 잘 때 꼬리로 얼굴과 코를 감싸 따뜻함을 유지한다. 이를 "시베리안 스월(Siberian Swirl)"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꼬리는 편안할 때는 낮게 처지고, 흥분하거나 관심이 있을 때는 낫 모양으로 위로 휘어진다.[12]
견종 표준에 따르면, 수컷은 어깨 높이가 약 50.80cm에서 약 60.96cm이고 체중은 약 20.41kg에서 약 27.22kg이며, 암컷은 어깨 높이가 약 48.26cm에서 약 58.42cm이고 체중은 약 15.88kg에서 약 22.68kg이다.[12][22]
3. 2. 성격
시베리안 허스키는 친절하고 온화한 성격을 가지고 있다.[27] 짖는 대신 울부짖는 경향이 있다.[24] 땅을 파거나 담장을 뛰어넘는 등 탈출의 명수로 묘사된다.[3][25][26] ASPCA는 시베리안 허스키를 아이들에게 좋은 견종으로 분류하지만, 실내에서 높은 에너지를 보이며 특별한 운동이 필요하고, "적절한 관리 없이는" 파괴적일 수 있다고 경고한다.[3]애완견으로 기르는 경우, 약 2m 높이의 담장이 권장되지만, 2.4m 높이의 담장을 넘는 경우도 있다고 알려져 있다.[26] 전기 애완견용 울타리는 효과적이지 않을 수 있다.[26] 시베리안 허스키는 사람과 다른 개들과의 잦은 교감이 필요하며, 무리의 일원으로 느끼는 욕구가 매우 강하다.[48]
사회성이 강하고 소속 집단에 대한 귀속 의식이 높아, 일단 자신의 소속 집단이라고 자각하면 주인에 대한 충성심, 그 집의 아동・유아에 대한 친화성은 물론, 다른 소동물, 심지어 파충류 애완동물에 이르기까지 같은 소속원으로 여겨 온화함을 발휘한다. 따라서 적절하게 훈련하면 유아가 있거나 다른 소동물을 기르는 가정에서도 함께 살 수 있다.
하지만, 집단 지도자(주인)에게 "신경 써주었으면 좋겠다・칭찬받고 싶다"는 칭찬받고 싶은 욕구가 강하고, 고집 세고 독립심도 강하며 자아 표현 욕구가 강한 면도 있어, 훈련・육성을 인내심 있게 해야 한다. 최소한 아침저녁 각 1시간 이상의 운동을 빠뜨릴 수 없고 보호자가 동반해야 하기 때문에, 사육은 쉽다고 할 수 없지만, 적절한 훈련과 의사소통이 이루어지면 가족의 일원이 된다.
사람이나 다른 개에게 항상 심하게 으르렁거리고 과도한 위협을 가하는 성견 개체가 있는데, 이는 성장기 주인의 확실한 애정 교육 부족이나 충분한 운동 기회 부족 등에서 오는 스트레스 축적과 불만의 울적을 원인으로 하는 자아 표현의 넘침이며, 주로 주인의 훈련・육성 실패에서 기인한다.
한 연구에 따르면 시베리안 허스키의 유전자와 충동성, 주의력 결핍 및 활동성이 높은 것 사이의 연관성이 발견되었다.[28] 개 심리학자 스탠리 코렌에 따르면 시베리안 허스키는 지능 측면에서 138개 견종 중 77위를 차지했다.[29]
3. 3. 건강
시베리안 허스키는 고혈압, 소화성궤양 등의 질병에 걸릴 수 있다.[31] 유전적으로 발작, 안구 결함(소아 백내장, 각막 이영양증, 녹내장, 진행성 망막 위축), 선천성 후두 마비 등의 위험이 있다.[32] 고관절 이형성증은 이 품종에서 자주 발견되지는 않지만, 중형 또는 대형견에서처럼 발생할 수 있다.[33] 미국 동물정형외과재단은 현재 시베리안 허스키를 고관절 이형성증 위험이 있는 160개 품종 중 155위로 분류하고 있으며, 검사를 받은 시베리안 허스키 중 2%만이 고관절 이형성증을 보이고 있다.[34]썰매 경주에 사용되는 시베리안 허스키는 위장 질환,[35] 기관지염 또는 기관지폐 질환("스키 천식"),[36] 위 점막 침식 또는 궤양[37]과 같은 다른 질병에 걸릴 위험이 더 높을 수 있다.
시베리안 허스키는 X-연관 진행성 망막 위축이 흔하게 발생하는 품종 중 하나이다. 이 질환은 이 품종의 RPGR 유전자 돌연변이에 의해 발생한다.[38]
4. 다양한 활동
시베리안 허스키는 전통적으로 썰매를 끄는 개로 활용되었으며, 현대에는 썰매 개 경주에 참여한다.[58] 이 외에도 스키조링, 바이크조링, 카팅, 개 하이킹 등 다양한 반려견 활동에 적합하다.
- 스키조링: 썰매 끌기의 대안으로, 주인이 스키를 착용하고 개가 로프를 통해 주인을 끈다.[63]
- 바이크조링: 주인이 자전거를 타고, 개는 하네스를 통해 자전거에 연결되어 개와 주인 모두 안전하게 유지된다. 개나 개 팀은 견인줄에 연결되어 자전거를 끌 수도 있다.[66]
- 카팅: 드라이랜드 머싱 또는 설키 드라이빙이라고도 불리며, 개 썰매의 도시형 대안이다. 개는 물품이나 개인을 실은 카트를 끌 수 있다.[65]
- 개 하이킹: 근처에 산책로가 있거나 산책로로 여행할 수 있는 주인을 위한 활동이다. 주인은 야생의 산책로를 따라 개와 함께 여행하며, 허스키의 강한 끌기 본능을 사용하지 않고도 운동을 할 수 있다.
5. 대중문화
시베리안 허스키는 대중문화에서 다양한 모습으로 등장하며 많은 사랑을 받았다.
- 개그콘서트의 코너 '정여사'에 나오는 브라우니 인형이 시베리안 허스키 품종이다. 2002년 초 대우 L6 매그너스 광고에 등장한 썰매견도 같은 품종이다.
- 개밥 주는 남자라는 프로그램에 나오는 '뚜이'도 시베리안 허스키이다.

- 1925년부터 뉴욕 센트럴 파크에 전시된 발토의 청동상은 공원의 인기 명소 중 하나이다.[67][68]
- 트와일라잇 시리즈와 늑대인간 소재 드라마 왕좌의 게임의 인기로 시베리안 허스키를 키우려는 수요가 급증했지만, 유기견 문제도 함께 발생했다. 드라마 주연 배우들은 품종에 대한 조사 없이 개를 입양하는 것을 중단해 달라고 호소하기도 했다.[69][70]
- '쓰리 독 나이트(three dog night)'라는 표현은 시베리안 허스키 토착견을 기르던 추크치족에서 유래했다.[71]
- 1943년 제2차 세계 대전 연합군의 시칠리아 침공 작전명은 "허스키 작전"이었다.[72]
- CBS/얼라이언스 아틀란티스 TV 시리즈 Due South에서 시베리안 허스키 순종견이 RCMP 경관 벤튼 프레이저의 동반자 다이펜베이커를 연기했다.[73]
- 여러 학교와 대학의 운동팀 마스코트로 활용되고 있다.
학교 | 마스코트 |
---|---|
세인트 클라우드 주립 대학교 | 세인트 클라우드 주립 허스키즈, 블리자드 |
노던 일리노이 대학교 | 노던 일리노이 허스키즈, 빅터[74] |
코네티컷 대학교 | 코네티컷 허스키즈, 조나단 |
노스이스턴 대학교 | 노스이스턴 허스키즈, Paws |
미시간 공과대학교 | 미시간 테크 허스키즈, 블리자드 |
워싱턴 대학교 | 워싱턴 허스키즈, 해리 |
휴스턴 밥티스트 대학교 | 휴스턴 밥티스트 허스키즈, 키자 더 허스키 |
세인트 메리즈 대학교 | 세인트 메리즈 허스키즈 |
조지 브라운 칼리지 | (해당 정보 없음) |
참조
[1]
웹사이트
Siberian husky
https://www.britanni[...]
2019-02-28
[2]
웹사이트
American Kennel Club : Official Standard of the Siberian Husky
https://images.akc.o[...]
2022-02-27
[3]
서적
ASPCA Complete Guide to Dogs
https://books.google[...]
Chronicle Books
1999-09-01
[4]
웹사이트
Siberian husky breed of dog
https://www.britanni[...]
2019-02-28
[5]
논문
Comparative Population Genomics of Arctic Sled Dogs Reveals a Deep and Complex History
https://watermark.si[...]
2024-08-21
[6]
웹사이트
Do many Siberian Huskies run the Iditarod? If not, why? – Iditarod
https://iditarod.com[...]
2020-10-12
[7]
논문
Modern Siberian dog ancestry was shaped by several thousand years of Eurasian-wide trade and human dispersal
[8]
논문
Ancient Wolf Genome Reveals an Early Divergence of Domestic Dog Ancestors and Admixture into High-Latitude Breeds
[9]
논문
Social behaviours in Siberian huskies
[10]
서적
Leonhard Seppala : the Siberian dog and the golden age of sleddog racing 1908–1941
https://www.worldcat[...]
Pictorial Histories Publishing Company
2015
[11]
논문
Using multiple markers to elucidate the ancient, historical and modern relationships among North American Arctic dog breeds
[12]
웹사이트
AKC Meet The Breeds: Siberian Husky
http://www.akc.org/d[...]
American Kennel Club
2011-08-21
[13]
웹사이트
Get to Know the Siberian Husky
http://www.akc.org/d[...]
The American Kennel Club
2014-05-29
[14]
웹사이트
Siberian Husky Dog Breed Information
https://www.akc.org/[...]
2022-02-15
[15]
웹사이트
FCI-Standard N° 270 – Siberian Husky
http://www.fci.be/No[...]
2000-01
[16]
웹사이트
Siberian Husky Breed Standard
https://www.ckc.ca/C[...]
2016-01
[17]
웹사이트
Siberian Husky Breed Standard
https://www.ukcdogs.[...]
[18]
웹사이트
Siberian Husky Breed Standard
https://www.thekenne[...]
2020-04-25
[19]
웹사이트
Coat Color Identification Guidelines & Statement on "Merle" Patterning in Siberians
https://www.shca.org[...]
2020-04-25
[20]
웹사이트
American Kennel Club:Official Standard of the Siberian Husky
http://s3-us-west-2.[...]
2015-05-24
[21]
웹사이트
Common Husky Questions – Siberian Husky Club of Great Britain – Huskies UK
http://www.siberianh[...]
Siberianhuskyclub.com
2009-02-02
[22]
웹사이트
Siberian husky
https://www.britanni[...]
Encyclopaedia Britannica, Inc.
2019-06-11
[23]
웹사이트
The Siberian Husky: A Brief History of the Breed in America
http://www.shca.org/[...]
2016-03-16
[24]
백과사전
Siberian husky (breed of dog) – Britannica Online Encyclopedia
https://www.britanni[...]
2009-02-02
[25]
서적
Tales from a Dog Catcher
https://books.google[...]
Globe Pequot
[26]
서적
Siberian Huskies For Dummies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011-03-16
[27]
웹사이트
Official Valid Standard Siberian Husky
http://www.fci.be/en[...]
2021-01-24
[28]
웹사이트
DRD4 and TH gene polymorphisms are associated with activity, impulsivity and inattention in Siberian Husky dogs
https://www.research[...]
2021-01-24
[29]
서적
The Intelligence of Dogs: A Guide to the Thoughts, Emotions, and Inner Lives or Our Canine Companions
Free Press
2006
[30]
웹사이트
Canine Intelligence—Breed Does Matter
https://www.psycholo[...]
2021-10-27
[31]
논문
Longevity of companion dog breeds: those at risk from early death
Springer Science and Business Media LLC
2024-02-01
[32]
학회발표
Larageal paralysis
http://secure.aahane[...]
American Animal Hospital Association
2012-10-15
[33]
웹사이트
Your Siberian Husky: Its Hips and Its Eyes
http://www.shca.org/[...]
Siberian Husky Club of America
2009-09-15
[34]
웹사이트
OFA: Hip Dysplasia Statistics
http://offa.org/hips[...]
Offa.org
2009-02-02
[35]
논문
Journal of Veterinary Internal Medicine – Journal Information
Jvetintmed.org
[36]
논문
Racing Alaskan Sled Dogs as a Model of "Ski Asthma" – Davis et al. 166 (6): 878 – American Journal of Respiratory and Critical Care Medicine
https://web.archive.[...]
Ajrccm.atsjournals.org
2009-02-02
[37]
논문
Journal of Veterinary Internal Medicine – Journal Information
Jvetintmed.org
[38]
서적
BSAVA Textbook of Veterinary Nursing
British Small Animal Veterinary Association
2020
[39]
서적
The Cruelest Miles: The Heroic Story of Dogs and Men in a Race Against an Epidemic
https://books.google[...]
W. W. Norton
2005-02-17
[40]
서적
Genetic Nature/culture: Anthropology and Science Beyond the Two-culture Divide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41]
웹사이트
An iceman's best friend
https://web.archive.[...]
Geographical (magazine)
2006-12
[42]
웹사이트
The Fan Hitch: Journal of the Inuit Sled Dog International
https://thefanhitch.[...]
2010-03-01
[43]
웹사이트
The Evolution of a Word Husky
https://nunatsiaq.co[...]
2007-09-28
[44]
서적
British dogs; their varieties, history, characteristics, breeding, management and exhibition..
http://archive.org/d[...]
London, The bazaar office
[45]
서적
Siberian Huskies
https://archive.org/[...]
TFH Publication
[46]
간행물
The cruelest miles : the heroic story of dogs and men in a race against an epidemic
http://worldcat.org/[...]
Random House Audio
2003
[47]
서적
Leonhard Seppala: the Siberian dog and the golden age of sleddog racing 1908–1941
http://worldcat.org/[...]
Pictorial Histories Publishing Company
2015
[48]
서적
The Dog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DK Publishing
2013-10-01
[49]
웹사이트
Siberian Husky – Official Breed Standard
https://web.archive.[...]
United Kennel Club
[50]
웹사이트
Breeding Seppalas (5)
https://www.seppalak[...]
[51]
웹사이트
American Kennel Club – Siberian Husky History
http://www.akc.org/d[...]
Akc.org
2009-02-02
[52]
웹사이트
AKC Dog Registration Statistics
http://www.akc.org/n[...]
American Kennel Club
[53]
뉴스
American Kennel Club 2013 Dog Registration Statistics Historical Comparisons & Notable Trends
http://www.akc.org/n[...]
The American Kennel Club
2014-04-30
[54]
서적
Of Dogs and Men: Fifty Years in the Antarctic : the Illustrated Story of the Dogs of the British Antarctic Survey 1944 - 1994
Images
1996
[55]
웹사이트
The British Antarctic Survey Husky Sledge Dog Monument unveiled
https://www.bas.ac.u[...]
British Antarctic Survey
2009-07-07
[56]
웹사이트
Proceedings – Did You Know – Camp Century
https://web.archive.[...]
U.S. Coast Guard
[57]
웹사이트
How Game of Thrones has Impacted — And Hurt — Siberian Huskies
https://www.akc.org/[...]
[58]
웹사이트
How Sled Dogs Work
https://adventure.ho[...]
2008-01-14
[59]
웹사이트
Lessons from a sled dog massacre
https://www.sfgate.c[...]
2011-02-18
[60]
웹사이트
Siberian Husky Dog Breed Information
https://www.akc.org/[...]
[61]
웹사이트
Getting Started in Rally
https://www.akc.org/[...]
[62]
웹사이트
Agility
https://www.akc.org/[...]
[63]
뉴스
Skijoring Is Winter's Wildest Sport. Here's How to Do It
https://www.bloomber[...]
2018-01-12
[64]
웹사이트
Hiking With Your Dog: Tips For Hitting The Trail In A Safe And Fun Way
https://www.akc.org/[...]
2019-09-29
[65]
웹사이트
More Sports for All Dogs: Drafting & Carting
https://www.akc.org/[...]
[66]
웹사이트
Bikejoring: Is This Adrenaline Inducing Sport Right For You and Your Dog?
https://www.akc.org/[...]
[67]
웹사이트
Central Park – Balto
http://www.nycgovpar[...]
New York City Department of Parks & Recreation
[68]
웹사이트
Balto
https://www.centralp[...]
2017-08-07
[69]
웹사이트
In Game of Thrones fans' pursuit of real-life dire wolves, huskies may pay the price
https://www.national[...]
2019-05-06
[70]
웹사이트
'Game of Thrones' Star Jerome Flynn Speaks Up for Huskies
https://www.peta.org[...]
2019-04-11
[71]
서적
Climate Change in Prehistory: The End of the Reign of Chaos.
Cambridge University Press
[72]
웹사이트
Operation husky: Sicily – 9/10 July 1943
http://www.combinedo[...]
2014-07-29
[73]
서적
The Encyclopedia of TV Pets: A Complete History of Television's Greatest Animal Stars
https://books.google[...]
Thomas Nelson Inc
2002-04-01
[74]
웹사이트
About Mission
http://myniu.com/blo[...]
Northern Illinois University Alumni Association
2014-05-01
[75]
웹사이트
環境省_パンフレット「飼う前に考えて!」 [動物の愛護と適切な管理]
https://www.env.go.j[...]
2022-01-07
[76]
뉴스
ベビーベッドで寝ていた生後6週の男児、飼い犬に襲われ死亡「嫉妬」「本能にスイッチか」(米) - Yahoo! JAPAN
https://article.yah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